본문 바로가기
아무거나

윈도우11 home, pro 어떤 걸 써야 할까? 버전 비교

by 드바 2025. 4. 10.
반응형

 

 

윈도우11에는 크게 4가지 에디션이 있습니다

Home (홈 에디션 – 기본형)
Pro (프로페셔널 – 업무용)
Enterprise (엔터프라이즈 – 기업용)
Education (에듀케이션 – 교육용)

기업용, 교육용 등 특수한 환경에서의 에디션을 제외 한 구매 시 가장 고려하게 되는 home, Pro에 대해 비교해 보겠습니다

 

아래 공식 사이트에도 설명이 나와있습니다

↓ ↓ ↓ ↓ ↓

 

Windows 11 버전 비교: Windows 11 Home 및 Pro와 Windows 10 비교 | Microsoft

Windows 버전 비교 정보, 그리고 Windows 10에서 Windows 11으로 업그레이드해야 하는 이유를 확인해 보세요. Windows 11 Home과 Pro의 차이점을 알아보고 가장 적합한 버전을 확인해 보세요.

www.microsoft.com

 

윈도우11 Home

주요 특징:
새 디자인, 창 정리(스냅 레이아웃), 여러 바탕화면(가상 데스크톱) 등 기본 기능 제공.
인터넷 서핑, 게임, 넷플릭스, 간단한 문서 작업에 최적화.

가격: 약 18만 원(정식 구매 기준).

장점:

가장 저렴한 가격의 에디션
웹 서핑, 게임, 스트리밍 등 일상적인 작업에 충분.
단점:
고급 보안 기능(BitLocker, Windows Sandbox 등) 없음.
비즈니스 기능(도메인 가입, 그룹 정책) 미지원.
추천 대상: PC를 주로 개인 용도로 사용하는 일반 사용자나 학생. 복잡한 설정이나 전문 기능이 필요 없다면 Home으로 충분합니다.

윈도우11 Pro

주요 특징:
Home의 모든 기능 포함.
보안: BitLocker(드라이브 암호화), Windows Information Protection(WIP) 제공.
비즈니스 기능: Active Directory/도메인 가입, 그룹 정책 편집기, 원격 데스크톱 지원.
가상화: Hyper-V(가상 머신 생성), Windows Sandbox(안전한 테스트 환경).

가격: 약 26만 원
장점:
보안과 관리 기능이 강화되어 소규모 사무실이나 원격 작업에 적합.
개발자나 IT 전문가가 가상 머신을 활용하기 좋음.
단점:
Home보다 가격이 높음.
일반 사용자에겐 불필요한 기능이 포함될 수 있음.
추천 대상: 소규모 비즈니스 운영자, 소규모 사업자 또는 가상화와 같은 고급 기능을 활용하려는 사용자.

 

기능/항목 Home Pro Enterprise Education
BitLocker 디스크 암호화 X O O O
원격 데스크톱 호스트 X O O O
그룹 정책 편집기 (GPEdit) X O O O
가상화 (Hyper-V) X O O O
고급 보안 기능 (AppGuard 등) X X O O
일반 사용자 구매 가능 O O X X

 

나에게 맞는 윈도우11 에디션은?

일반 가정의 일반사용자는 Home이면 충분합니다.

전문가/소규모 사업자 또는 Pro에서만 사용가능한 기능이 필요하다면 Pro를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MS가 제공하는 무료 윈도우11 정품인증 - KMS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공하는 정품 인증 방법으로 KMS(키 관리 서비스) 클라이언트를 이용한 제품 인증 방법입니다.  임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제품키를 등록하는 것으로 6개월에서

pskbigstar.tistory.com

 

 

윈도우11 설치 전 필수 확인 사항 - MS 로그인 안하는 법

윈도우11 설치 시 네트워크 연결을 강제하고 있습니다.네트워크 연결하고 진행하면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에 로그인해야 하는 추가 함정이 나오지요네트워크 연결 및 MS계정 로그인 건너뛰는 방

pskbigstar.tistory.com

 

 

윈도우11에서 예전 그림판 사용하기 (Classic Paint)

윈도우10에서 잘 사용하던 그림판이 윈도우11에서 많이 변화된 모습입니다.비슷하기는 하지만 이전버전과는 차이가 있어 사용하는게 불편하여 윈도우11에서 예전 버전의 그림판 설치하는 방법

pskbigstar.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