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DBMS/기타13

linux hostname(호스트네임) 변경 하는 법 - 리눅스를 설치 시 기본 호스트네임은 localhost - linux 7 버전 이후 hostname 변경 방법에 대한 설명 - 세션에서의 변경이 아닌 영구적인 변경(재기동시에도 변하지 않음) hostnamectl set-hostname 명령어로 hostname을 변경한다(localhost -> svr1) -- 현재 hostname 확인 [root@localhost ~]# hostname localhost [root@localhost ~]# -- hostname 변경 (localhost -> svr1) [root@localhost ~]# hostnamectl set-hostname svr1 [root@localhost ~]# [root@localhost ~]# cat /etc/hostname svr1 [.. 2023. 9. 18.
LINUX 디스크 I/O 모니터링 iostat iostat 명령은 CPU의 상태와 디스크 입출력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 합니다. -- 2초마다 현재시간과 disk io 모니터링 [root@svr1 ~]# iostat -x -t 2 Linux 4.1.12-112.16.4.el7uek.x86_64 (svr1) 07/24/2023 _x86_64_(2 CPU) 07/24/2023 10:47:18 PM avg-cpu: %user %nice %system %iowait %steal %idle 5.62 0.04 1.46 0.02 0.00 92.86 Device: rrqm/s wrqm/s r/s w/s rkB/s wkB/s avgrq-sz avgqu-sz await r_await w_await svctm %util sdb 0.01 0.00 5.36 1.61 84... 2023. 7. 24.
리눅스 서버 모니터링 툴 nmon for linux AIX 모니터링 시 유용하게 사용했던 nmon 리눅스에서도 사용 가능 리눅스 서버 버전 확인[root@svr1 ~]# cat /etc/redhat-release Red Hat Enterprise Linux Server release 7.5 (Maipo)[root@svr1 ~]# 다운로드nmon 다운로드 주소https://nmon.sourceforge.net/pmwiki.php?n=Site.Download  nmon for Linux | Site / DownloadPOWER: nmon_power_64_centos6, nmon_power_64_rhel7, nmon_power_64le_linux ,nmon_power_64le_sles12, nmon_power_64_centos7, nmon_power_64_sl.. 2023. 6. 24.
MobaXterm 에서 GUI 프로그램 실행 실패 터미널프로그램(mobaxterm)에서 gui 구동 시 root 에서는 잘 되지만 다른 계정에서는  권한 문제로 에러 발생하며 실행 불가Xlib: connection to "localhost:12.0" refused by serverXlib: MoTTY X11 proxy: Unsupported authorisation protocol터미널에서 GUI 프로그램 실행 테스트-- 보통 아래와 같이 체크표시 되어있을 경우 특별한 문제 없이 GUI 프로그램 구동됨-- firefox 브라우저 실행 테스트 에러 발생-- oracle 에서 GUI 실행 실패[ora11std@svr1 ~]$ firefoxXlib: connection to "localhost:12.0" refused by s.. 2023. 6. 22.
RHEL(Red Hat Enterprise Linux) 다운로드 주소 아래 주소에서 로그인 후 다운로드 가능 https://developers.redhat.com/products/rhel/download Red Hat Enterprise Linux | Red Hat Developer A stable, proven foundation that’s versatile enough for rolling out new applications, virtualizing environments, and creating a secure hybrid cloud. developers.redhat.com DVD iso 를 받아주면 됨 2022. 8. 19.
ls -l 명령어 결과 보는법 ls 명령어의 -l 옵션은 디렉토리 내용을 자세하게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각 정보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자세하게 분석해보고자 한다. ls -l 명령어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이 8개의 영역으로 나뉘어 있다. 영역별 의미는 이렇다. 1영역 : 종류 [일반 파일(-), 디렉토리(d), 블록 디바이스(b), 문자 디바이스(c), 링크(l)] 2영역(*) : 접근 모드 [read(r), write(w), excute(x)] 3영역 : 하드 링크의 수 - 이 문서에 연결된 하드 링크의 수를 나타낸다. 윈도우의 바로가기와 유사한 개념이다. 4영역 : 소유자 5영역 : 그룹 6영역 : 크기(Byte) 7영역 : 최종 수정 시각 8영역 : 이름 2영역 보충설명 접근 모드는 총 9자리 문자열로 표시된다.. 2022. 6. 22.
반응형